팔당하류역

팔당 하류역이란 양수리에서부터 한강이 임진강과 합류되는 지점까지의 구간을 말한다. 이 지역에는 위로부터 왕숙천·성내천·중랑천·탄천·홍제천 ·안양천·곡릉천 등 많은 하천이 한강으로 유입되고 있으며, 경기도 남양주시 ·하남시·구리시와 서울특별시·경기도 고양시 등이 자리하고 있다.
과거 팔당 하류의 한강에는 한강 상류로부터 운반된 토사가 퇴적되어 형성된 양수리 하중도, 당정·미사 하중도, 토평·석도 하중도, 잠실 하중도, 뚝섬, 신사·반포 하중도, 여의도, 난지도, 능곡 하중도, 신평·노고 하중도 등의 많은 하중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하중도는 한강종합개발사업을 비롯한 개발사업으로 인해 유로가 변경되어 여의도를 제외하고는 모두 육화(陸化)되거나 골재 채취로 인해 흔적없이 사라져 버렸다.

왕숙천

왕숙천은 총연장 37km 유역면적 279.7㎢로서 포천군 소홀읍에서 발원해 남양주시 진접면 부평리·장현리·내각리·내곡리를 지나 구리시를 관통해 한강으로 흘러드는 하천이다. 이 하천은 태조 이성계가 상왕으로 있을 때 팔야리에서 8일간 유숙하고 또 내각리에서 별궁을 짓고 있었다고 하여 왕숙천(王宿川)이라 하였다. 혹은 세조의 광릉 안장 후 선왕이 영숙(길이 잠든다)한다는 뜻에서 왕숙천이라 한다고도 전하는데, 이 곳 노인들은 '왕산내'라고도 부른다.

중랑천

상공에서 찍은 중랑천

양주군 주내면 불국산(470m)에서 발원해 남류하면서 의정부시 민락동 용암산(476m)에서 발원한 부용천과 합류한 뒤 서원천이라는 이름으로 계속 남류하다가 도봉산(716m)과 수락산(637m)의 한 가운데를 흐르며 서울시 관내로 진입해 중랑구에서 북한산(836m)에서 발원한 우이천과 합류한 후 성동구에서 청계천과 합류해 한강으로 흘러드는 총연장 29km, 유역면적 288㎢의 하천이다.

성내천

하천정비사업 이전의 성내천

성내천은 남한산으로부터 발원, 서울시 송파구 거여동과 마천동을 흐르며 올림픽공원을 끼고 북서로 흘러 성내동을 거쳐 한강으로 흘러가는 길이 9.77km의 하천이다. 성내천의 상류 지역은 그린벨트로 보전되어 있는 지역으로 자연하천의 모습을 볼 수 있으나, 서울시 송파구 오금동에 접어들면서 도시하천의 모습으로 변한다. 성내천 하류 지역은 지대가 낮아 호우시 침수되는 상습수해지역이었으나 1984년 홍수 이후 유수지와 배수시설을 설치해 홍수에 대비하고 있다.

탄천

다리 밑에서 찍은 탄천

탄천은 경기도 용인시에서 발원하여 수지읍을 거쳐 북류하다가 광주군 서부와 성남시 분당구·수정구를 거쳐 서울시 송파구 가락동과 강남구 대치동을 지나 삼성동 부근에서 양재천과 합친 후 한강으로 들어가는 길이 37km의 하천이다. 동막천을 비롯하여 운중천·금토천·상적천·분당천·야탑천·여 수천 등 탄천의 주요 지류는 성남시의 중요한 용수원이 되고 있다. 탄천은 1990년 초 분당 신도시개발사업으로 인해 수질과 수량 측면에서 크게 변형되었다.

홍제천

홍제천 고가도로 아래에서 찍은 홍제천

홍제천은 북한산국립공원의 남쪽에 위치한 종로구 구기동에서 발원, 남서류하다가 서대문구 홍제동·남가좌동을 지나 마포구 성산동에서 불광천과 합친 후 성산대교 부근에서 한강과 합쳐지는 길이 12.3km의 하천이다. 홍제천은 전형적인 도시하천으로서 유역 상부의 발원지 지역을 제외하고는 거의 도시화가 진행되어 있으며, 하천도 물이 거의 흐르지 않는 건천(乾川)이 되어 있다.

안양천

강물이 말라있는 안양천

경기도 의왕시군포시·안양시·광명시·부천시와 서울시 남서부 일대를 북류하는 하천으로 길이 32.2km 유역면적 286㎢이다. 의왕시 동부에 솟은 백운산(561m)의 남서계곡에서 발원하여 군포시를 관통한 후 학의천·석수천·수암천과 합류하면서 안양시를 관류한다. 하류 부근에서 목감천과 마장천을 합친 뒤 계속 북류하여 서울시 강서구와 영등포구 사이에서 한강으로 흘러든다. 안양천은 조선중기에 대천, 조선후기에 기탄으로 불리었다. 유역 하류부에 있는 구로공단에서 유출된 폐수로 인해 하천오염이 심각하며 수방시설의 미비로 집중호우시 수해도 빈번하다.

곡릉천

경기도 양주군과 고양시·파주시를 서류하며 한강으로 흘러드는 강으로 가둔천이라고도 하며 길이 51.6km 유역면적 253㎢이다. 양주군 장흥면 부곡리에 있는 챌봉(516m) 남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고양시 선유동과 파주시 조리면 금촌동 일대를 지나 파주시 교하면 오도리 북쪽에서 한강 하류를 향해 서쪽으로 흐른다. 이 강의 중류 지역인 고양 부근은 심천, 조리면 부근은 봉일천, 금촌동 남쪽은 금성진, 하류의 교하 부근은 방천이라 부른다.

『한강의 어제와 오늘 (서울시사편찬위원회 발간, 2001.10.)』 수록내용

관련 시설

더보기 +
4227
담당부서 :
미래한강본부 - 한강사업총괄부 - 한강문화관광과
문의 :
02-3780-0763
수정일 :
2023-02-23
등록일 :
2022-12-13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의 내용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서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홈페이지 바로가기